판타스마고리아

고레에다 히로카주 감독의 영화를 처음 본 것은 미국에서 아트스쿨을 다니던 1998년으로 기억한다. 벌써 18년전의 일이다. 


최근 나온 주목할만한 영화를 보여주고 아티스트와 대화를 하는 "필름 투데이"라는 수업이었는데 그 수업에 고레에다 히로카주 감독이 자신의 영화 <애프터 라이프>(한국제목: 원더풀 라이프)를 들고 와서 학생들과 Q&A를 가졌다.


미련이 많아 사후세계에 이르지 못하고 중간지대인 림보에 갇혀버린 영혼들의 이야기인 <애프터 라이프>는 예상과 달리 빤한 판타지를 착취하는 나태한 이야기가 아니었다. 판타지임에도 기묘한 리얼리티가 끝까지 살아있다고나 할까. 아무튼 영화를 보고 멍~하게 충격받은 몸뚱이로 Q&A를 마친 고레에다 감독에게 비칠비칠 다가가 소감을 쏟아내기 시작했는데, 아뿔싸... 영어가 안되시는 것이었다. 내가 왜 일찍이 일어를 열심히 하지 않았나 그날 처음으로 후회를 했다. 


Q&A에서의 모습도 영화감독보다는 학자 내지 소설가의 풍모가 느껴졌고, 눈이 참 맑았다는 기억이 있다. 아무튼, 영화도 사람도 호감이었던 그날의 인상 이후 차곡차곡 쌓여가는 그의 필모그래피를 좇아가는 동안 그는 깐느에서 상도 받고 어느덧 대가가 되어갔다. 가끔 한번씩 '으응?' 할 만한 작품을 내기도 하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사회적 고민, 인생을 바라보는 깊이, 우아하고 단아한 미쟝센, 배우를 알아보는 눈 등 너무 많은 좋은 점을 갖춘 그는 언제나 내게 있어 소중한 베스트 중 하나다. 


<바닷마을 다이어리>는 뭐랄까, (<걸어도 걸어도>부터 시작된) 오즈 야스지로 풍 고레에다류 영화의 연장 선상에 있는 영화같다. 그의 초기작인 <환상의 빛>, <디스턴스>, <원더풀 라이프>, <아무도 모른다>가 상실과 애도로 몸부림치는 현장에 대한 사뭇 냉정할 정도로 담담한 응시였다면,  <걸어도 걸어도>가 나온 2000년대 후반부터 시작된 이른바 고레에다 제 2기 작품들은 인생에 대한 폭넓은 긍정과 따뜻한 응시가 자연스레 오즈의 가족극을 떠올리게 한다.   


아야세 하루카(<호타루의 빛>의 그 유명한 '건어물녀'), 나가사와 마사미, 카호, 카세 료, 츠츠미 신이치 등 그야말로 일본 영화 및 방송계의 달링들이 총출동한 이 영화는, 그냥저냥 괜찮은 배우가 좋은 감독을 만났을 때 어떤 시너지를 일으키는가를 보여주는 모범사례 같은 작품이다. 아야세 하루카의 멍하고도 단정한 얼굴에서 그 멍함을 외려 책임감 많은 장녀의 신중함으로 읽게 만들고, 광고용 같은 그녀의 미소를 의기소침해 있을 의붓동생을 배려하는 애틋한 노력으로 보이게 만드는 건, 보통의 감독 누구나 해낼 수 있는 경지는 아니다. 고레에다 히로카주에게는 '익히 소비된 스타의 얼굴'에서 '평범한 사람의 빛'을 찾아주는 신묘한 능력이 있는 것 같다. 


막내동생으로 나오는 히로세 스즈(스즈 역)는 <아무도 모른다>에서 야기라 유야가 보여준 '아름다운 어린 얼굴'의 여자아이 버전이다. 보고 있으면 나도 모르게 "아아악 너무 예뻐" 소리가 절로 터져나온다. 보통은 영화에서 어린 여자애를 이 정도의 애정으로 찍어놓은 화면을 보다보면, 어쩔수 없이 카메라에 눌러붙은 (감독의 혹은 카메라의) 관음증적 시선을 느끼게 된다. 무엇이 관음증적이고 아닌지를 구분하는 방법은 한 가지다. 꽃같은 소녀를 보면서 그녀와 동일시가 되기보단 객관적 거리를 유지한 관찰자의 마음이 되어 냉정하게 훑어보게 된다면, 즉 피사체의 객체화/대상화가 이루어지는 순간이 온다면 이것은 우리가 그런 관객이라서가 아니라 이미 감독이 그런 시선으로 그 피사체를 바라보기 때문이다. 이 영화에서 카메라는 유난히도 스즈를 자주 응시한다. 그런데, 재밌게도 관객으로서 눈물이 터지는 순간은 주로 스즈가 화면 가득 잡혀있는 순간들이다. "아버지를 돌봐줘서 고마워"라는 큰언니의 말에 눈물을 뚝뚝 흘리는 모습, 동급생의 자전거 뒷자리에 앉아 벚꽃터널을 아련하게 응시하는 모습, 마당에서 언니들과 불꽃놀이를 하며 즐거워하는 모습. 카메라가 스즈를 잡을때마다 관객은 피사체와의 거리를 잃고 그녀의 마음에 동일시된다. 어린 소녀를 즐겨 클로즈업하는 다른 감독들이 들으면 서운할지도 모르지만, 나는 이토록 어떤 관음증의 혐의도 없이 어린 소녀를 바라보는 영화를 본 기억이 없다. (고레에다 히로카주에게 조금이라도 그런 의도가 묻어있었다면, 스즈가 목욕 타월을 그토록 우스꽝스럽고 과감하게 열어젖히는 뒷모습 장면은 탄생하지 않았을 것이다) 


여자들로만 이루어진 이야기에 남자를 중요한 갈등의 동인으로 사용하고자 하는 유혹에 시달렸을텐데도, 카세 료, 츠츠미 신이치 같은 일급배우들을 과감히 듣보잡 조연 취급 하며 여자들 주도의 이야기에 집중하는 그의 '정치적 올바름'에도 칭찬을 하고싶다. 큰 갈등의 판을 깔아준 건 아버지가 남기고 간 배다른 자매지만, 이후 그녀들의 세계에 남자가 일으킨 파란은 호수에 번진 물결처럼 스치고 지나갈 뿐 그녀들 자체를 근본적으로 바꾸지 못한다. 고레에다는 휴머니스트에 이어 페미니스트까지 넘보고 있는걸까. 


초기작들이 상실의 빈 자리를 애도하는 처연한 분위기가 다분했다면, <걸어도 걸어도> 이후의 고레에다는 삶의 비의에 대해 조금은 더 포용하고 감싸 안는 세계를 보여준다. 영화와 그 영화를 만든 사람이 얼마나 별개의 존재인지는 익히 보고 들어 알고있지만, 왠지 고레에다의 지금까지를 지켜본 팬의 입장에서는, 그의 영화세계는 보기 드물게 인생에 대한 그의 자세와 정확히 공명하는 것 같다. 


왠지 그는 더 좋은 사람이 되어 더 좋은 영화를 만들어 줄것만 같다.  

벌써부터 고레에다 히로카주의 다음 영화가 기대된다.         

Posted by 미와카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