판타스마고리아

우울증 병가를 마친 주인공의 복직 문제를 두고
사장은 다른 근로자들로 하여금
보너스와 주인공의 복직 중 하나만 선택해야하는 구도를 짠다.

 

이런 구도 속에서
복직을 하려고 동료들을 찾아다니며
보너스를 포기해줄 것을 요청하는 주인공의 행동은
파렴치하다는 비난을 받으며
때론 폭력사태로 번지는 결과를 낳기도 한다.

 

매출의 최대화와 효율적 경영전략이라는 모토 아래
그 어느때보다 잔인한 고용축소의 칼날로 파이를 늘려놓고도
그 파이를 임금노동자와 나누지않고 자신에게만 귀속시키는 자본가,
시장의 논리라며 이를 방치하는 정부,
그리고 자신을 피해간 칼날에 안도하며 그로 인한 타인의 불행을 외면하는 사람들.

 

이들이 마땅히 받아야할 비난은
지금 애꿎은 여성과 이주노동자를 겨누고 있다.

 

일자리 축소와 그로 인한 생계의 두려움
승자가 모든 것을 다 가져가는 사회적 분위기는
여성의 사회진출이나 외국인 노동자의 존재때문이 아니다.

 

독일의 신나치 발흥이나
프랑스의 샤를리 엡도건으로 바라본 아랍이민들의 게토화된 실상
그리고 IS로 떠나간 한국 소년의 '페미니스트가 싫어요' 상태는
모두다 탓해야할 대상을 놔두고 엉뚱한 대상에 분노를 집중하는
사회적 분위기에 그 뿌리를 두고있다.

 

<내일을 위한 시간>에서 동료의 복직이냐 보너스냐를
선택해야만 하게 판을 짠건 사장인데
왜 동료끼리 서로를 미워해야만 하는가.

 

중요한 건 사장의 마지막 제안에 나오듯
결국 보너스도 복직도 모두 허락할 수 있었다는 사실이다.

주인공을 해고하지 않으면
공장이 망하거나 아님 다른이를 해고해야만 하거나
그런 절체절명의 상황이 아니었다는 사실이다.

 

근로자를 고용한다는 건
넓은 의미에서 잠재적 소비자를 길러내는 일이기도 하다.

 

파이를 나누지 않으려는 자본가의 욕심을
합리적인 경영상의 결정으로만 포장하는 사회에 화를 내야한다.

이제 곧 여성도, 외국인 노동자도 아닌
기계와 인공지능이 일자리를 잠식하는 시대가 오면
그땐 기계를 혐오하며 테러하고 때려부술건가?

 

주인공의 복직을 위한 투표는 결국 복직 실패로 결론나고

착잡한 마음으로 짐을 싸는 그녀에게

사장은 한가지 제안을 한다.

 

"당신을 다시 고용할 수 있다.

그러나 대신 계약직 노동자 한명을 내보내야한다."

 

자신에게 호의적이었던 계약직 노동자의 바로 그 얼굴을 떠올리며

말없이 자리에서 떠나는 주인공.

 

비록 투표를 호소하는 주말 동안의 노력은 실패로 돌아갔지만

그녀와 관객은 똑똑히 깨닫게 된다.

 

자본의 강고한 틀거리 안에서 살아남을 유일한 길은 연대solidarity며

연대란 결국 역지사지의 측은지심에서 시작된다는 사실을.

 

아름다운 실패라는 것은

바로 이럴 때 쓰이는 말일 것이다.

  

 


Posted by 미와카주